본문 바로가기
  • 똥 싸는 시간 아껴서 공부하자 !

전체 글30

아시아 생산 공장의 위기! 저가 상품이 사라진다. 아시아 생산 공장의 위기! 저가 상품이 사라진다!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한 기사가 나왔습니다. 초저가 상품의 시대가 위협받고 있다! 는 내용으로 이제는 우리가 저렴하고 풍족하게 많은 물건들을 생산하고 사용하는 시대가 끝날 것이라는 기사이다. 그동안 저렴하게 물건들을 찍어내던 아시아 전역에 있던 공장들의 노동력 확보에 비상상태가 걸렸다고 하는데. 엄청나게 많은 공장들이 각국에서 특히 젊은 노동자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내용이 생소한 이야기는 아닌 것이 불과 얼마 전 한국의 상황이랑 비슷하다. 자 그런데 이게 아시아의 문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저렴한 물건들에 의존해 왔던 미국과 유럽의 선진국들도 큰 타격을 입을 거라는 분석이다. 앞으로 물가는 계.. 2023. 9. 8.
미친 금리 118%, 국가존망이 달린 아르헨티나의 경제 상황에 대해서 미친 금리 118%, 국가존망이 달린 아르헨티나의 경제 상황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아르헨티나의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장기매매 합법화, 중앙은행 폐지 등 특이한 공략을 내놓은 대통령 후보가 예비 선거에서 1위를 차지하는 큰 이변이 일어나기도 했다. 도대체 아르헨티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최근 아르헨티나 경제상황에 대한 웃긴 영상이 뉴스에 나왔었다. 아르헨티나 국경지대에 있는 파라과이 상점에 강도가 들어왔는데 점원이 강도한테 아르헨티나 돈을 건네주려고 하자 강도가 돈을 거부하는 사건이 있었다. 아르헨티나 돈 따위는 줘도 받지 않는다!! 아르헨티나의 인플레이션 상황을 잘 알 수 있는 사건이었다. 아르헨티나의 인플레이션 어느 정도기에 강도가 .. 2023. 9. 6.
전세계 의약품 전문 배송 드론업체 ‘집라인(Zipline)’ 을 알아보자 전세계 의약품 전문 배송 드론업체 ‘집라인(Zipline)’ 을 알아보자 한 암벽등반가 출신의 사업가는 암벽등반과 창업 두 가지의 공통점에 대해 이런 이야기를 했다. "클라이밍에 가장 큰 묘미는 한 번 성공하기 위해서 100번 실패하는 것이다." 이 말의 주인공은 바로 의약품 전문 배송 드론업체 집라인(Zipline)의 CEO인 켈러 리노도(Keller Rinaudo Cliffton)다. 켈러 리노도의 목표는 무엇인지, 집라인은 어떤 배경에서 만들어진 회사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집라인(Zipline) 개요 2014년 켈러 리노도는 오늘날 5.6조원 가치의 드론 배송 스타트업인 집라인을 창업했다. 창업을 하면서 계속해서 생각했다고 한다.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무엇일까? 해서 찾.. 2023. 9. 5.
방장 사기맵, 천조국 '미국'에 대해 알아보자 방장사기맵, 천조국 '미국'에 대해 알아보자!! 현재 세계 최강 국가로 불리는 미국 미국은 경제, 군사 등등 여러 분야에서 전 세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은 1783년에 영국에게서 독립한 이후 패권 국가의 자리에 올라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는데 과연 미국은 어떻게 패권국이 될 수 있었을까? 오늘은 미국의 지리적 측면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신이 내린 땅' 미국 미국은 1775년~1783년까지 8년동안의 독립전쟁 끝에 독립을 이뤄냈지만 당시 미국은 유럽의 열강들에 비해 한참 뒤쳐진 국가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의 광활한 영토와는 달리 과거에는 동부해안에 밀집된 인구 400만 정도의 국가였다고 한다. 하지만 미국이란 나라는 현재 애플, 구글, 마이크로스트, 테슬라, 나이키 .. 2023. 9. 4.
세계 최대 석유 수출국 '사우디아라비아'를 알아보자 세계 최대 석유 수출국 '사우디아라비아'를 알아보자!! 최근에 빈 살만 왕세자가 한국에 방문했었고 네옴시티라는 상상의 도시를 만들겠다고 해서 관심이 있었기에 영상을 검색해서 시청해봤는데 내용이 재미있었다. 오늘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사우디아라비아는 대표적인 산유국이다. 석유를 팔아서 엄청난 부를 축적했고 엄청난 오일머니로 남다른 부의 기준을 자랑하고 있는 나라이다. 그런데 이런 사우디아라비아는 특이한 일구밀집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전체 국토에서 'ㅗ' 모양으로 선을 그으면 그 지역에서 전체인구의 80%가 몰려있다고 하는데 정말 호기심이 생기지 않을수가 없는 부분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어떤 나라일까?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인 아라비아반도, 이 반도는 한반도의 14.5배의 크기로 .. 2023. 9. 3.
중국 지방정부 부채 과연 얼마나 될까? (2) 중국 지방정부 부채 과연 얼마나 될까?! 중국 지방정부 1편에서 2경에 달하는 부채가 있다는 내용까지 알아보았다. 이어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중국은 이번에도 다를까?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가 2경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도 중국을 왜 자본주의 시각으로 보느냐?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정부가 통제하고 또다시 부양책을 사용해서 경기를 살릴 거라는 말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뭐가 어떻게 자본주의 국가와 다른 것인지 설명하는 곳은 없다. 그냥 막연하게 중국은 다르다고 말을 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지금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고작해야 나라가 망하지 않게 버티는게 최선일 것이라 생각한다. 다시 경제 상황을 이전처럼 되돌릴만한 요소가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상황과 비교해보자 19.. 2023. 8. 30.
중국 지방정부 부채 과연 얼마나 될까? 중국 지방정부 부채 과연 얼마나 될까? 요즘 해외, 국내 구분없이 중국 위기와 관련된 내용이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다. 이 블로그에도 중국 관련된 내용이 꽤 있는데 이번에는 중국의 지방정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중국의 40년 호황이 끝났다는 기사를 내기도 했고, 최근 미국의 분위기는 중국과의 패권 전쟁이 사실상 미국의 승리로 끝난 것처럼 보도하는 내용이 늘어났다. 계속 블로그에도 적어왔지만 중국은 그동안 너무 부동산에 의지해서 성장을 해왔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이고 이와 관련해서 과도한 부채 또한 큰 문제점이었다. 이렇게 빚으로 이룬 성장의 문제점은 미래의 성장을 현재로 끌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계속 성장을 하지 못한다면 빚을 갚아야 할 시기가 오면 결.. 2023. 8. 29.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가 '핵'을 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가 '핵'을 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미스터 에브리띵으로도 불리는 빈 살만 왕세자가 핵 무장을 원하고 있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다.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중동은 세계의 화약고라고 불리는 지역이다. 굉장히 많이 일어나는 지역인데 이 중동 지역에서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나라가 바로 사우디아라비아다. 이런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에게 핵기술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고 하니 주변국은 물론이고 전 세계가 관련 소식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왜 핵 개발에 욕심을 내는 것일까? 사우디는 올해 초부터 본격적으로 미국에게 핵 개발을 지원해달라는 요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지난 6월에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사우디를 방문해서 기자회견이 열렸었는.. 2023. 8. 24.
무섭게 치솟고 있는 '국제 금리'에 대해서 (2) 무섭게 치솟고 있는 '국제 금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다. 미국 금리가 올라가면 다른 국가들의 금리도 함께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중국, 한국, 일본의 경우는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여 금리를 조절을 한다. 이것도 일종의 시장 왜곡인데? 미국 국채 금리는 무위험자산이라고 불리는 자산인데? 미국 국채 금리보다 뭐 중국이나 한국의 금리가 더 낮게 유지되는 이런 상황이 정상적이냐? 사실 그렇게 정상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일본의 경우는 엔화가 국제 통화이기 때문에 일본의 상황은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일본은 엄청난 자금이 해외로 투자되어 있어서 일본이란 나라가 갖고 있는 여러가지 국제 금융에서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 중국과 100% 같다고 볼 수는 없다. 근데 중국이나 한국은 사실상 시장의 .. 2023.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