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ㆍ경제 리뷰23 한국화 되어가고 있는 '몽골'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한국화 되어가고 있는 '몽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최근에 몽골로 여행을 다녀온 지인이 있어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아서 어김없이 이런저런 영상들을 시청했다. 보통 몽골에 대해 떠오르는 것은 덩치가 크고 말을 타고 다니고 초원을 누비는 이미지였는데 다녀온 사람의 이야기와 인터넷으로 검색을 조금 해보니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너무 달라서 놀랐다. 몽골에 대해 알아보자 국가가 무언가 성장을 도모하려면 대양으로 나가서 많은 국가와 왕래하고 교류를 해야 한다. 하지만 몽골은 전형적인 내륙 국가다. 쉽게 얘기하자면 바다를 접경 하지 못하고 있고, 비행기로 다른 나라를 왔다 갔다 하려면 인접국가에 영공을 이용하는데 굉장히 많은 동의와 허락을 구해야 되는 상황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러시.. 2023. 8. 15. AMOGY(아모지), 세계의 큰 손들이 투자한 수소 기술? AMOGY(아모지), 세계의 큰 손들이 투자한 수소 기술이 있다고 하는데? '배터리' 관련된 내용들을 둘러보다가 우연히 '수소' 에 대한 영상을 시청했다. 수소를 별도의 추출 작업 없이, 암모니아 자체를 주입해서 사용하는 기술인데 흥미로운 내용이라서 리뷰 해본다. 오늘 소개할 기업은 미국 뉴욕에 있는 스타트기업 AMOGY(아모지), 미국 기업이지만 창업자들이 MIT 박사 출신 4인의 한국인이다. 이들은 올해 1월 암모니아 트럭 운행을 실제로 구현해냈고 이후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을 했다. 그런데 투자자들이 보통 회사들이 아니다. 사우디의 세계 최대 석유회사 아람코, 일본의 미쓰비시, 싱가포르의 국부펀드 TEMASEK 그리고 우리나라의 SK이노베이션, 고려아연 등 쟁쟁한 회사들이 AMOG.. 2023. 8. 14. 중국 부동산 위기 맞은 진짜 이유 (중국 ep.2) 최근 국내, 해외 할 것 없이 대부분의 언론에서 중국의 부동산 시장과 관련하여 좋지 않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심지어는 곧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죽음의 나선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분석까지도 있다고 하고,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 정부가 아무리 부양책을 내놓아도 시장이 살아나지 못 할 것이라는 불안감도 퍼지고 있다고 한다. 전 세계에서 내 집을 마련하기 가장 어려운 도시 1위가 어디일까? 이 부분의 1위는 바로 중국의 상하이다. 중국에서는 50년 동안이나 한 푼도 사용하지 않고 돈을 모아야만 상하이에 집을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 넘비오가 PIR 수치에 따라 순위를 정리한 내용이 있는데요 PIR 지수는 가구 소득대비 주택가구 비율로, 주택을 사기 위해 가구 소.. 2023. 8. 13. 중국과 타이완 전쟁 가능성에 대해 (중국 ep.1) 중국과 타이완의 전쟁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최근 중국의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내용이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는 와중에 중국에 대한 흥미로운 영상을 보게 되어 리뷰 해본다. 아니 중국 경제가 추락하는 것과 우리가 도대체 무슨 상관이야?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굉장히 많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 윌리엄 번스 미국 CIA 국장이 "중국이 4년 안에 타이완을 침공할 것이다." 라는 주장을 했기 때문에 미국과 동맹 관계인 대한민국은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자 그러면 왜 중국의 타이완 공격 이야기가 나오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첫 번째, '위안화 가치의 추락' 중국의 위안화 가치가 계속 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점 때문에 중국 경제가 좋지않다는 얘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 올해초만 해도 1달러에 6.7.. 2023. 8. 12. 유럽이 가난해지고 있다? 미국과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던 '유럽'이 경제 침체를 겪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그 중에서는 우리에게 BMW, 벤츠 등 자동차로 잘 알려진 유럽의 선진국 '독일'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유로스타트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인 9명 중 1명 고기ㆍ생선ㆍ채소를 갖춘, 제대로 된 식사조차 할 여력이 없다." 라는 충격적 내용이 공개됐다. 작년 독일의 1인당 육류 소비량은 52kg 였는데, 올해 2023년에는 전년보다 8%가 감소했다고 한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최저치를 기록 중이라고 하는데 얼마나 독일 경제가 침체를 겪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국제통화기구가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지표를 보면 G7 국가들 중에 독일만이 유일하게 마이너스로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 2023. 8. 11. 이전 1 2 3 다음